2011년 7월 10일 일요일

[경제학을 리콜하라 - 이정전]을 읽고.


이 책은 고전 경제학의 거부들과 그들의 저서에 대한 소개를 해 준다. 애덤스미스, 데이빗 리카도, 칼 마르크스, 존 케인스 등등. 다른 경제학서와 다른 점은 이들의 저서 뿐만 아니라 어떤 사람이었는지 설명하는 데 꽤나 많은 지면을 할애했다는 점이다. 그 당시의 사회 상황, 어떤 부모 밑에서 어떤 유년기를 거쳤는지, 어떤 성격이었는지 돈은 많이 벌었는지. 그들의 이론에 대한 설명도 많이 있는데, 그래프와 수학적 기호는 최대한 제외했다. 이 책 통털어 수학식은 단 한번도 안나오고, 그래프는 경제학 교과서 맨 처음에 나오는 수요 공급 무차별 곡선 딱 한 번 나온다. 대신 그 이론들은 어떤 사회적 상황에서, 저자들의 어떤 주장을 얘기하기 위해 나왔는 지를 집중적으로 설명해준다. 내가 읽은 경제학서중에 가장 쉽고 재밌었다. 이 책을 교과서로 경제학 수업을 들었다면, 훨씬 재미있었을 것 같다. 400페이지나 되는데, 정말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읽었다. 그럼, 이정전 교수님은 왜 경제학을 리콜하라 라고 외치시는 걸까. 

2008년 금융위기 발생 시, 그것을 예측한 경제학자는 있었는가. 예측은 둘째치고라도, 지금 와서 제대로 원인을 분석하고 앞으로 다시는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예방책을 세워주는 경제학자가 있는가. 없다라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적어도 지금의 주류 경제학쪽에서는. 

그렇다면 주류 경제학은 왜 실패했는가. 그들의 가정 자체가 말이 안되는 면이 많다. 인간은 항상 합리적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모든 걸 시장에 맡겨두면 보이지 않는 손이 인간의 이기심으로 가장 적절히 조절해서 최적의 균형을 찾아낸다고 생각한다. 결정적으로 사람이란 "돈=행복" 으로 쉽게 정의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근데 사실 그렇지가 않다. 인간은 합리적이지 않다. 별로 생각하지 않고 결정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시장의 보이지 않는 손은 완전 경쟁 시장에서만 이상적으로 작동하는 메카니즘이다. 현실에서 완전경쟁시장이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또, 사람은 그저 돈 하나만으로 행복해지는 존재가 아니다. 정의, 건강, 가족 등등의 여러요소가 복합적으로 인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친다. 

가정이 틀렸으니 결론도 틀릴 수 밖에 없다. 아무리 수학적으로 세련되게 정리하고 슈퍼컴퓨터로 정리한 방대한 통계데이터를 제시하더라도 말이다. 가정의 불합리함이 현대 주류경제학의 가장 큰 약점이며, 경제위기를 예측하지 못하게 한 가장 큰 맹점이다. 

그런데, 이런 현대 주류경제학의 약점 및 한계를 이미 경제학의 역사에 큰 발자국을 남긴 과거 경제학 대가들이 이에 대하여 이미 자세히 설명했고, 조심하라고 경고성 발언도 많이 했었다. 경제학의 창시자로 추앙받고 있는 애덤 스미스, 경제학을 이론적 반석 위에 올려놓은 데이비드 리카도, 자본주의 시장의 정체를 근원적으로 파고든 카를 마르크스, 거시경제학의 지평을 연 존 메이너드 케인스 등이 바로 그들이다. 

이들의 공통점은 경제학뿐만 아니라 철학 및 인문학에 조예가 깊었다는 점이다. 단순히 돈에만 집중하고, 경제현상을 수학적으로 묘사하는 것에만 집중하지 않았다. 그보다는 사람은 어떤 존재인가, 왜 그런 경제적인 행동을 하는가, 어떤 경우에 행복을 느끼는가에 대해서 진지하게 고민을 했다. 그리고 그 고민에 대한 대답을 경제학적인 용어로 풀어냈을 뿐이다. 이 고전들에, 현대 경제학의 나아갈 길이 있다. 

현대 경제학의 모토 - 열심히 일하라. 그래서 돈을 많이 벌어라. 그럼 너도 행복하고 경제도 성장하고 모두가 행복해질 수 있다.- 는 한 마디로 요약하자면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돈이라는 것이다. 사실 자본주의에서는 돈이 정말로 제일 중요할 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것도 어느 정도지, 이렇게까지 사람을 소외하고 돈만 바라보는 경제학이 제공하는 프레임은 점점 그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제는 사람을 바라봐야 할 때다. 돈 많이 버는 비인간적인 사회보다, 돈도 적당히 벌고 행복한 사회를  만들 수 있는 경제학이 필요할 때다. 경제학을 리콜하라. 사람을 행복하게 하는 경제학이 필요하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